주담대

5월 7일 국민은행 주택담보대출 최저 금리 4.03% 등 5월7일 은행 보험사 금리비교

아파트후순위담보대출 금융플러스 2025. 5. 7. 12:47
728x90
반응형

 

 

5월 7일 국민은행 주택담보대출 최저 금리 4.03% 등 5월7일 은행 보험사 금리비교

2025년 5월 7일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비교
은행
용도
최저금리
우대금리
(빨간색 항목은 금리에 미반영)
국민은행
(5년 고정금리)
주택구입자금
4.03%
신용카드 30만 0.3% / 자동이체 3건 0.1% 급여 50만 0.3% / 적금(예치) 30만 0.1% / KB스타뱅킹 0.1%​
* 취약차주 0.3% / 중도상환 0.58% 일수차감
생활안정자금
4.08%
우리은행
(5년 고정금리)
주택구입자금
3.90%
급여 (100만) 0.2% / 자동이체 1건 0.1% / 카드(30만) 0.2% / 적금 (10만) 0.1% / WON 뱅킹 로그인 0.1% / 비거치 0.1% / 청약 0.1% / mci 가입시 0.1% *가산
* 사회적 배려 0.2% / 국토부 전자계약 0.2% / 중도상환 0.74% 일수 차감(매년 대출금의 10% 수수료 면제)
생활안정자금
3.95%
신한은행
(5년 고정금리)
주택구입자금
3.99%
급여이체 0.3% / 카드 3개월 50만원 이상 0.2%(체크카드 0.1%) / 적금 청약 연금신탁 월불입액 10만원 이상 0.1% / mci 가입시 0.1% *가산
* 국토부 전자계약 0.2% / 모범납세자 0.5% / ​중도상환 0.60% 일수 차감(매년 대출금의 10% 수수료 면제)​​
생활안정자금
4.04%
하나은행
(5년 고정금리)
주택구입자금
3.980%
급여이체 0.4% / 카드 30만 0.2%, 70만 0.3% / 청약이체 5만 또는 적립식 이체 10만 0.2%​
* 다자녀 2명 0.2% 다자녀 3명 0.4% / 중도상환 0.66% 일수 차감
생활안정자금
3.970%
농협은행
(5년 고정금리)
주택구입자금
3.81%
신용카드 3개월 합산 100만 0.3% / 자동이체 3건 0.1% / 예금 평균잔액 200만 0.3% / 급여 150만 0.3%​​ / * 대출 기간 30년
* 국토부 전자계약 0.3% / LTV 40% 이하 0.2% / 중도상환 0.65% 일수 차감
생활안정자금
3.86%
SC제일은행
(주택구입자금)
1년 주기
3.99%
급여이체 70만 0.1% / 카드 월 30만 0.1%
* 다문화, 다자녀 0.1% / 1억 이상 예치 고객 0.1% / 중도상환 0.40% 일수 차감(매년 대출금의 10% 수수료 면제)
10년 주기
4.33%
기업은행
(5년 주기형/3억원 기준)
*대출 금액에 따라 금리 변동
주택구입자금
4.003%
신용카드 50만 0.2% / 급여이체 50만 0.2% / 청약 2만 0.2% / 예금 10만 0.1% / 자동이체 2건 0.1% / 스마트뱅킹 월 2회 0.1% / ISA계좌 30만 0.1%
* 5년 미만 0.2% / 5년 초과 0.3% / 10년 이상 0.5% / 15년 이상 0.7% 포함 최대 1.5% 할인 / 중도상환 0.64% 일수 차감(매년 대출금의 10% 수수료 면제)
생활안정자금
4.023%
IM뱅크(대구은행)
(5년 고정금리)
* 비수도권만 가능
주택구입자금
4.01%
급여 100만 0.2% / 자동이체 3건 0.1% / 신용카드 30만 0.2% / 적금 30만 또는 청약 5만 0.1% / 입출금예금 3개월 평균잔액 100만 0.2%​
* 국토부 전자계약 0.2% / 국세청장 이상 표창장 0.2% / 다자녀 혹은 만 65세 부양 0.2% 할인(전입 최근 12개월 이상 유지) / 중도상환 0.65% 일수차감
생활안정자금
4​.01%
2025년 5월 7일 보험사 주택담보대출 금리비교
보험사
구분
최저금리
우대금리
한화생명보험
(주택구입자금)
1년 변동금리
4.29%
보험 10만 가입 0.2% 할인 / 아파트 외 주택 0.5% 가산
3년 변동금리
4.19%
5년 변동금리
4.19%
교보생명보험
(40년 고정금리)
주택구입자금
4.50%
사업자 대출 및 대부업 대환 가능​
* MCI 불가 * 다주택자 대출 불가 * 구입자금 일시적 2주택 가능(현재 1주택이고 소유주택 처분조건 가능) * 7억 초과 대출 불가
생활안정자금
4.60%​
푸본현대생명
(3개월변동 5년고정)
3개월 변동금리
4.07%
전(월)세 후순위 취급 가능(아파트만) / 지점장 우대금리 생활안정자금 0.2% 할인 / 구입자금 0.1% 할인
5년 고정금리
5.05%
삼성화재보험
(5년 고정금리)
주택구입자금
4.50%
mci가입 시 0.1% 가산 / 증빙소득 아닐 시 0.1% 가산 / 중도상환수수료 50% 면제 시 0.3% 가산 / 다주택자는 DTI 무관 / LTV 70%까지 대환 가능(변동금리에 0.1% 가산)
생활안정자금
4.60%
현대해상보험
(주택구입자금)
3년 고정금리
4.59%
mci 가입 시 0.1% 가산 / 후순위 0.1% 가산 / 사업자 대환 가능 / 신용대출과 동시 실행 가능
5년 고정금리
4.59%
KB손해보험
(5년 고정금리)
주택구입자금
4.34%
중도상환수수료 50% 면제 적용 / 사업자 대환 가능
생활안정자금
4.34%
농협손해보험
(5년 고정금리)
주택구입자금
4.03%
서울 및 수도권 등 지역 및 신용점수에 따라 금리 차등 적용 / 상기 금리는 LTV 40% 이하 방공제 적용 시 / LTV 60%+방공제 0.22%가산, LTV 70%+방공제 0.3%가산 / m​ci 가입시 0.1%가산
생활안정자금

 

2025년 5월 7일 기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관련 주요 이슈를 1,000자 이내로 요약해 드리겠습니다.


1. 7월부터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금융당국은 오는 7월부터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이는 대출 금리에 가산금리(스트레스 금리)를 더해 대출 한도를 산출하는 제도로, 수도권에는 1.5%포인트의 가산금리가 적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대출 한도가 줄어들어, 대출받기가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 소득 1억 원인 차주가 변동금리 조건으로 30년 만기 주담대를 받을 경우, 스트레스 DSR 2단계 기준에서는 최대 6억400만 원까지 가능하지만, 3단계 적용 시 5억4,700만 원으로 약 3,700만 원 줄어들게 됩니다.


2. 지분형 모기지 시범사업 추진

정부는 무주택자의 내 집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지분형 주택담보대출(모기지)' 시범사업을 하반기에 도입할 예정입니다. 이 제도는 공공과 개인이 주택의 지분을 공동으로 소유하는 방식으로, 대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억 원짜리 주택을 구매할 때 본인이 5억 원을 조달하고, 나머지 5억 원은 주택금융공사(HF) 등 공공 정책금융기관의 지분 투자를 받는 구조입니다. 공공이 투자한 지분에 대해서는 은행 이자보다 낮은 사용료를 지불하며, 주택을 팔 경우 주택 가격 상승분은 주택금융공사와 반반 나누게 됩니다 .


3. 대출 금리 및 중도상환수수료 인하

시중은행과 보험사들은 주담대 금리를 인하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중은행의 5년 고정금리는 3.85%~4.10% 수준이며, 보험사의 경우 4.27%~4.59%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 또한, 2025년부터 주담대 중도상환수수료가 기존 1.21.4%에서 0.60.7%로 절반 수준으로 인하되어 조기 상환 시 부담이 줄어들게 됩니다.


4. 은행권 LTV 담합 의혹

공정거래위원회는 4대 은행(KB국민·우리·신한·하나은행)이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정보를 사전에 공유해 대출 한도를 맞췄다는 담합 의혹에 대해 재조사를 마무리하고, 과징금의 근거가 되는 매출액을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과징금 수위가 1조 원을 넘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으며, 은행들은 소송을 검토 중입니다.

 

2025년 5월 7일 수요일 은행 보험사 주택담보대출 최저 금리 비교 국민은행 4.03% 등 시중 은행별 보험사별 금리비교, 스트레스DSR3단계 DSR DTI LTV 등 규제 후 실제로 받을 수 있는 한도 관련 궁금증은 모기지투데이 카카오톡을 이용해 무료 상담으로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