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한도 축소
하나은행이 3일부터 비대면 담보대출 상품인 '하나원큐 아파트론' 대출 한도를 기존 최대 10억원에서 최대 5억원으로 줄인다고 밝혔습니다. '하나원큐 주택담보대출' 한도는 최대 7억원에서 5억원으로 축소됩니다. 대면 창구 주담대 한도는 유지됩니다.
이밖에 비대면 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상품에 부수 거래 감면 항목도 신설합니다. 이전에는 부수 거래 없이도 우대금리를 적용했으나, 이달부터는 부수 거래 조건을 충족해야 금리 감면 혜택을 줍니다.
부수 거래 감면 항목이 신설되는 상품은 하나원큐 아파트론, 하나원큐담보대출, 하나 담보대출 갈아타기, 하나주거용 오피스텔 담보대출 갈아타기, 하나원큐신용대출 갈아타기 등 입니다.
주택구입 및 생활안정자금 등 주택담보대출 실행 계획이 있는 분들은 은행별 규제 내용을 정확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시중 은행 보험사 주택담보대출 최저 금리 비교
모기지투데이에서 2025년 2월 3일(월) SC제일은행 주택담보대출 최저 금리 4.24% 등 시중 은행 보험사 주택매매잔금대출 및 전세퇴거자금대출 최저 금리를 비교해 해드립니다. 주담대 LTV DSR 스트레스DSR 규제 등 보다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다면 카카오톡 및 전화 무료 상담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년 2월 3일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비교
|
||||||
은행
|
용도
|
최저금리
|
우대금리
(빨간색 항목은 금리에 미반영)
|
|||
국민은행
(5년 고정금리)
|
주택매매잔금
|
4.34%
|
신용카드 30만 0.3% / 자동이체 3건 0.1% 급여 50만 0.3% / 적금 30만 0.1% / KB스타뱅킹 0.1%
취약차주 0.3%
|
|||
전세퇴거자금
|
4.36%
|
|||||
우리은행
(5년 고정금리)
|
주택매매잔금
|
4.35%
|
급여 (100만) 0.2% / 자동이체 1건 0.1% / 카드(30만) 0.2% / 적금 (10만) 0.1% / WON 뱅킹 로그인 0.1% / 비거치 0.1% / 청약 0.1% / mci 가입시 0.1% *가산
장애인 국가유공자 기초수급자 등 사회적 배려 0.2% 할인
|
|||
전세퇴거자금
|
4.37%
|
|||||
신한은행
(5년 고정금리)
|
주택매매잔금
|
4.41%
|
급여이체 0.3% / 카드 3개월 50만원 이상 0.2%(체크카드 0.1%) /
적금 청약 연금신탁 월불입액 10만원 이상 0.1% / mci 가입시 0.1% *가산
국토부 전자계약 0.2% / 모범납세자 0.5% 추가 할인
|
|||
전세퇴거자금
|
4.43%
|
|||||
하나은행
(5년 고정금리)
|
주택매매잔금
|
4.646%
|
급여이체 0.4% / 카드 30만 0.2%, 70만 0.3% / 청약이체 5만 또는 적립식 이체 10만 0.2%
다자녀 2명 0.2% / 다자녀 3명 0.4% 추가 할인
|
|||
전세퇴거자금
|
4.636%
|
|||||
농협은행
(5년 고정금리)
|
주택매매잔금
|
4.38%
|
신용카드 3개월 합산 100만 0.3% / 자동이체 3건 0.1% / 적금 10만원 0.1% / 급여 150만 0.3%
부동산전자거래 0.3% / LTV 40% 이하 0.2% 추가 할인
* 대출 기간 30년 * 대환, MCG, MCI 불가
|
|||
전세퇴거자금
|
4.40%
|
|||||
SC제일은행
(아파트매매잔금)
|
1년 주기
|
4.24%
|
다문화, 다자녀 0.1% / 1억 이상 예치 고객 각각 0.1% 추가 할인
|
|||
10년 주기
|
4.61%
|
|||||
기업은행
(5년 주기형/3억원 기준)
*대출 금액에 따라 금리 변동
|
주택매매잔금
|
4.295%
|
신용카드 50만 0.2% / 급여이체 50만 0.2% / 청약 2만 0.2% / 예금 10만 0.1% / 자동이체 2건 0.1% / 스마트뱅킹 월 2회 0.1% / ISA계좌 30만 0.1%
|
|||
전세퇴거자금
|
4.285%
|
|||||
대구은행
(5년 고정금리)
|
주택매매잔금
|
4.01%
|
급여 100만 0.2% / 자동이체 3건 0.1% / 입출금예금 3개월 평균잔액 100만 0.1% / 신용카드 30만 0.2%
국세청장 이상 표창장 0.2% 할인 / 다자녀 혹은 만 65세 부양 0.2% 할인(전입 최근 12개월 이상 유지)
|
|||
전세퇴거자금
|
4.01%
|
2025년 2월 3일 보험사 주택담보대출 금리비교
|
||||||
보험사
|
구분
|
최저금리
|
우대금리
|
|||
한화생명
(주택매매잔금)
|
1년 변동금리
|
4.47%
|
상기 금리는 구입자금 금리(생활자금은 0.2% 가산) / 아파트 외 주택 0.2% 가산 / 보험 10만 가입 0.2% 할인
|
|||
3년 변동금리
|
4.37%
|
|||||
5년 변동금리
|
4.39%
|
|||||
교보생명
(40년 고정금리)
|
주택매매잔금
|
4.68%
|
사업자 대출 및 대부업 대환 가능
* MCI 불가 * 다주택자 대출 불가 * 구입자금 일시적 2주택 가능 * 7억 초과 대출 불가
|
|||
전세퇴거자금
|
|
|||||
푸본현대생명
(주택매매잔금)
|
3개월 변동금리
|
4.19%
|
전(월)세 후순위 취급 가능 / 지점장 우대금리 생활안정자금 0.2% 할인 / 구입자금 0.1% 추가 인하 가능
|
|||
5년 고정금리
|
5.19%
|
|||||
삼성화재
(5년 고정금리)
|
주택매매잔금
|
4.50%
|
mci가입 시 0.1% 가산 / 증빙소득 아닐 시 0.1% 가산 / 중도상환수수료 50% 면제 시 0.3% 가산 / 다주택자는 DSR DTI 무관하게 LTV 70%까지 대환 가능(변동금리에 0.1% 가산)
|
|||
전세퇴거자금
|
4.60%
|
|||||
현대해상
(주택매매잔금)
|
3년 고정금리
|
4.82%
|
mci 가입 시 0.1% 가산 / 후순위 0.1% 가산 / 사업자 대환 가능 / 신용대출과 동시 실행 가능
|
|||
5년 고정금리
|
4.82%
|
|||||
KB손보
(5년 고정금리)
|
주택매매잔금
|
4.51%
|
중도상환수수료 50% 면제 적용 / 사업자 대환 가능
|
|||
전세퇴거자금
|
4.51%
|
|||||
농협손보
(5년 고정금리)
|
주택매매잔금
|
4.28%
|
서울 및 수도권 등 지역 및 신용점수에 따라 금리 차등 적용 / 상기 금리는 LTV 40% 이하 방공제 적용 시 / LTV 60%+방공제 0.13% 가산, LTV 70%+방공제 0.21% 가산 / mci 가입 시 0.2% 가산
|
|||
생활안정자금
|
4.28%
|
* 똑같은 주택담보대출이라도 주택매매잔금대출 및 전세퇴거자금대출, 대환대출 등 용도에 따라 금융사별로 금리가 차등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아파트 외 부동산(빌라 다세대주택 오피스텔 단독주택 연립 다가구주택 등)은 KB시세가 아닌 감정가를 기준으로하며, 금융사별로 감정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금융사에 따라서는 비아파트 구입 시 금리가 가산될 수 있습니다.
* 스트레스DSR 규제 적용 후 줄어든 한도를 정확히 체크하세요. 2025년 하반기부터는 시중은행 및 보험사 주택담보대출에 스트레스DSR 3단계가 적용될 예정입니다.
* 고정금리(혼합형/주기형) 및 변동금리 비교를 신중하게 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 2025년 1월부터 주택담보대출 중도상환수수료가 절반 수준으로 줄어듭니다.
* 은행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약간 부족하다면 DSR이 은행보다 10% 더 높은 보험사 주택담보대출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은행 가계대출 감소.. 금리 인하될까
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24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32조3,656억원으로 집계됐으며, 지난해 12월 말(734조1,350억원)과 비교해 1조7,694억원 줄었습니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1조6,592억원(578조4,635억원→580조1,227억원) 늘었지만, 신용대출이 3조54억원(103조6,032억원→100조5,978억원)이나 감소했습니다.
또 하나의 주요 배경은 부동산 경기 위축입니다. 담보대출이 시중은행 가계대출의 핵심인데, 5대 은행의 담보대출 월 증가액은 지난해 10월 이후 ▲ 10월 1조923억원 ▲ 11월 1조3,250억원 ▲ 12월 1조4,698억원 ▲ 2025년 1월(∼24일) 1조6,592억원 등으로 수개월째 1조원대에서 정체된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향후 은행권의 금리 인하 등 '가계대출 문턱 낮추기' 경쟁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정치 불안 등으로 경기 우려가 커지면서 아파트 등 주택 매수 심리 위축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각 은행이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대출 금리 인하를 검토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주택매매잔금, 생활안정자금, 전세퇴거자금 등 계획이 있는 분들은 은행별 금리 인하 흐름을 유심히 확인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2025년 2월 3일 월요일 SC 제일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4.24% 등 시중 은행별 보험사별 주택매매잔금대출 및 전세퇴거자금대출 대환대출 등 주담대 최저 금리비교, 스트레스DSR3단계 DSR DTI LTV 등 주담대 규제 후 실제로 받을 수 있는 한도 관련 궁금증은 모기지투데이 카카오톡을 이용해 무료 상담으로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2월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정보는 여러 출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금융 시장의 변화와 관련된 여러 요인들이 금리 인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 인하 배경
▶ 가계대출 감소: 최근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10개월 만에 처음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은행들이 대출 자산을 늘리기 위해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는 배경이 됩니다.
▶ 금리 인하 가능성: 은행들은 대출 경쟁을 강화하기 위해 2월부터 금리 인하와 가계대출 규제 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구체적인 금리 변화
▶ 보금자리론 금리 인하: 한국주택금융공사는 2025년 2월 보금자리론 금리를 0.3% 포인트 인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로 인해 최저 연 2.65%에서 2.95%의 금리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전문가 의견
▶ 은행 실적과 대출 경쟁: 은행의 실적이 가계대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금리 인하를 통해 대출 경쟁에 뛰어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2025년 2월에는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가계대출 감소와 은행들의 대출 경쟁 심화, 그리고 한국주택금융공사의 금리 인하 조치에 기인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대출을 고려하는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담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5일 한화생명 아파트담보대출 금리 4.37% 등 은행 보험사 최저 금리비교 (0) | 2025.02.05 |
---|---|
2월 4일 기업은행 전세퇴거자금대출 금리 4.265% 등 은행 보험사 주택구입자금대출 퇴거자금대출 주담대 최저 금리비교 (0) | 2025.02.04 |
1월31일 농협은행 부동산담보대출 최저 금리 4.38% 등 은행 보험사 주택구입자금대출 생활안정자금대출 금리 비교 (2) | 2025.01.31 |
1월24일 하나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4.631% 등 은행 보험사 주택구입자금 전세금반환 주담대 최저 금리 비교 (1) | 2025.01.24 |
1월23일 신한은행 주담대 금리 4.34% 등 은행 보험사 주택구입자금대출 생활안정자금대출 최저 금리 비교 (1) | 2025.01.23 |